TUTORIA EDUCATION1194 [기초영어 시즌 3] Part8, 어떻게? 왜? (how와 why에 대하여) 오늘은 영어의 육하원칙 그 마지막 남은 두 단어, how와 why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ow 1. 기본적으로 how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물을 때 쓰입니다. 이 경우 '어떻게'로 해석됩니다. 예문을 통해 확인해볼까요? ★ Did you do that? 너 그거 했어? ↓ How did you do that? 너 그거 어떻게 했어? ★ How do I get to the subway station? 지하철 역에 어떻게 가나요? 여기서 get to는 '~에 도착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how를 사용하여 어떤 장소에 가야 하는데, 모르는 경우 How do I get to + 장소? 의 형태로 물어볼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참고) '어떻게 생각해?' 이 문장을 단순히 한국어 문장.. 2020. 7. 15. [기초영어 시즌 3] Part7, 언제? 어디서? (when과 where에 대하여) 지난 Part5에서는 전반적인 의문사의 종류를 간단하게 살펴보았고, Part6을 통해 who와 what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의문사 when과 where, 이 두 단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when when은 시각, 날짜, 때를 물을 때 쓰입니다. 이 경우 when은 '언제' 정도로 해석됩니다. 간단한 예문 몇 가지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 Do you eat dinner? 너 저녁 먹어? ↓ When do you eat dinner? 너 언제 저녁 먹어? ★ Did you go home? 너 집에 갔어? ↓ When did you go home? 너 언제 집에 갔어? ★ When is your birthday? 너 생일이 언제야? when의 느낌이 느껴지시나요? 앞 p.. 2020. 7. 15. [기초영어 시즌 3] Part6, 누가? 무엇을? (who와 what에 대하여) 지난 Part5에서는 전반적인 의문사의 종류를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그중 who와 what, 이 두 단어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who 1.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의문문의 형태 앞에 who가 붙는 경우 '누구를' 정도의 해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단편적인 예 몇 가지를 볼까요? ★ Do you like? 너 좋아해? ↓ Who do you like? 너 누구를 좋아해? ★ Is he helping? 그는 도와주는 중이야? ↓ Who Is he helping? 그는 누구를 도와주는 중이야? 2. 두 번째로 who가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누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주어로 사용된다는 말은 who + 동사 ~? 의 형태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몇.. 2020. 7. 14. 영어 같은 한국어 콩글리쉬 2편 [셀카, 원룸, 더치페이, 헬스, 헬스장, 러닝머신 영어로] 정말 많은 콩글리쉬 단어 중에 오늘도 5개를 뽑아왔습니다. 함께 하나씩 살펴보시죠. 1. 셀카 많은 사람들의 필수품 중 하나는 핸드폰인데 핸드폰으로 많이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셀카 찍는 것입니다. 셀카와 관련된 검색어들이 많은 만큼 많은 분들의 관심사이기도 한데요. 이 셀카라는 단어를 영어로 적어보면 selca가 됩니다. 하지만 이 단어는 콩글리쉬입니다. 셀카의 올바른 표현은 selfie입니다. 따라서 셀카를 찍다를 영어로 표현하면 take a selfie가 됩니다. (사진 등을 찍다할때 찍다에 해당하는 동사는 take입니다) 그럼 이렇게 표현해볼 수 있겠네요. You take selfies all the time. (넌 항상 셀카를 찍어) 2. 원룸 보통 방이 하나가 있는 집을 가리켜 원룸이라고 이.. 2020. 7. 13. 영어 같은 한국어 콩글리쉬 1편 [모닝콜, 와이셔츠, 아이쇼핑, 커닝, 볼펜 영어로] 오늘은 영어인 줄 알았지만 영어가 아닌, 콩글리쉬였던 단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콩글리쉬 단어들은 정말 많지만 그중 5개를 뽑아봤습니다 하나씩 살펴보시죠. 1. 모닝콜 아침에 누군가에게 모닝콜을 부탁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단어인 이 모닝콜, 영어로 적어보면 morning call이 됩니다. 하지만 이 단어는 콩글리쉬입니다. 모닝콜의 올바른 사용은 wake-up call입니다. 따라서 누군가에게 모닝콜을 부탁하고 싶다면 이렇게 표현해보세요. Can I get a wake-up call tomorrow morning? (내일 아침에 깨워줄래?) 2. 와이셔츠 정장 패션에 빠질 수 없는 와이셔츠, 이 와이셔츠라는 단어도 영어로 적어보면 Y-shirt가 됩니다. 하지만 이 단어는 콩.. 2020. 7. 12. [기초영어 시즌 3] Part5, 더 자세히 묻기 위한 장치 의문사 (5W1H), 의문사+to부정사 누군가에게 질문을 할 때 상황에 따라 우리는 구체적으로 물어보기도 하는데, 오늘은 구체적으로 묻기 위한 장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어에는 육하원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그리고 이 육하원칙은 표현에 구체성을 담는 장치들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한국어의 육하원칙이 영어에도 있습니다. 영어의 육하원칙은 5W1H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W로 시작하는 단어가 5개, H로 시작하는 단어가 1개,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육하원칙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누가 who 언제 when 어디서 where 무엇을 what 어떻게 how 왜 why 그리고 이런 단어들을 의문사라고 부릅니다. 사실 의문사에는 which, whose라는 친구도 있지만, 위 표에는.. 2020. 7. 11. [기초영어 시즌 3] Part4, 동사ing (동사를 변화시키는 -ing) Part3에서 동사 앞에 to가 붙으면 동사의 의미가 달라진다고 배웠는데, 여기에 질 수 없어하는 한 친구(?)가 있습니다. 바로 -ing인데요. 이 ing는 to의 라이벌답게, to가 동사 앞에 붙으니 본인은 뒤에 붙겠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이야기입니다) 그럼 '다'로 끝나는 동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확장하는 그 두 번째 장치인 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 study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study라는 동사 뒤에 ing를 붙여 studying가 되면 이렇게 그 의미가 바뀝니다. 이렇게 동사 뒤에 ing만 붙은 것뿐인데 그 의미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1. 동사하는 것 2. 동사하고 있는, 동사하고 있는 중 3. 동사하면서 그럼 문장을 통해 이 -ing의 세 가지 의미가 어떻게 사용되는.. 2020. 7. 11. [기초영어 시즌 3] Part3, to 동사, 그 놀라운 변화 (to부정사의 세 가지 의미) 오늘은 '다'로 끝나는 동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 study 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study는 잘 아는 것처럼 '공부하다'라는 의미로 '다'로 끝나는 동사입니다. 그런데 이 study라는 동사 앞에 to를 붙여 to study가 되면, '~다'로 끝나던 동사가 다음의 세 가지의 느낌으로 바뀝니다. 1. 공부하는 것 2. 공부할 3. 공부하기 위해서 동사 앞에 to만 붙은 것 뿐인데, 이렇게 동사의 의미에서 표현을 확장해볼 수 있는 장치로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장치를 부르는 명칭이 바로 to부정사입니다 그럼 문장에서 to부정사가 위 세 가지 중 어떤 느낌으로 표현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이 세 가지 의미들을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문법적인 팁이 있을 수.. 2020. 7. 10. 5형식으로 표현되는 문장 종류 6가지 (사역동사, 지각동사, 과거분사의 쓰임) 오늘은 5형식 문장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5형식 문장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위 명칭에 익숙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지금부터 예문과 함께 5형식 문장의 종류를 알아보면서 5형식 문장에 대한 감을 잡아보세요. 1. 주어 + 일반동사 + 목적어 + to부정사 (주어는 일반동사한다 목적어가 to부정사 하는 것을) (주어는 일반동사한다 목적어에게 to부정사 하라고) 우선 첫 번째 5형식의 문장 형태는 목적격 보어 자리에 to부정사가 오는 것입니다. 예문 몇 가지를 함께 보겠습니다. He / told / me / to clean the room. 그는 / 말했다 / 나에게 / 방을 청소하라고 I / want / you / to take a trip wit.. 2020. 7. 9.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오늘은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to부정사와 동명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네 가지 동사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30개 afford ~할 여유가 있다 agree 동의하다 ask 부탁하다 attempt 시도하다 can't wait ~을 못 기다리다 choose 선택하다 dicide 결정하다 deserve ~할 자격이 있다 expect 예상하다, 기대하다 fail 실패하다 help 돕다 hesitate 주저하다 hope 희망하다 learn 배우다 manage 간신히 해내다 mean ~을 의도하다 need 필요가 있다 neglect 게을리하다 offer 제안하다 plen 계획하다 prepare 준비하다 pretend ~인 체.. 2020. 7. 8. 문법, 어느정도 알아야 할까요? 문법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뭔가 좀 딱딱하고, 어렵다고 느껴지시나요? 모든 사람이 그렇다고 느끼지는 않겠지만 아마 학생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문법을 떠올리면 어렵거나 딱딱한 느낌이 드실 거라 생각합니다. 사실 이렇게 느껴지는 원인 중 한 가지는 우리 주변에서 문법은 어떤 특정한 결과의 목적이나 실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자세히 알아야만 하는, 여러 규칙들과 그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키워야 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문법은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거나 문법 공부를 그만 하라고 이야기합니다. 혹시 이 말에 동의하시나요? 결론을 먼저 말해보면, 문법은 필요합니다. 다만, 문법이 위에서 말한 결과에 대한 목적이나 실력을 판단하기.. 2020. 7. 7. go through와 get through 대본을 보다 보니 비슷한 두 단어가 쓰인 문장이 나왔는데요. 바로 go through와 get through였습니다. 해당 문장은 이러합니다. And when we are going through tough times, like right now, that hope can get us through. 그럼 비슷해 보이는 이 두 단어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사전적 의미를 통해 그 차이를 이해해보겠습니다. go through 우선 사전적 의미로는 1. ~을 살펴보다. 2. ~을 검토하다. 3. (절차 등을) 걸치다. 4. ~을 겪다. 5. ~을 다 써버리다. 등이 있습니다. 이 의미들 중에 위 문장에서 사용된 의미는 4번의 의미인 '~을 겪다'입니다. 많은 경우에 go through는 어려운 상황이나 시.. 2020. 7. 7. 성서(Bible) 각 권의 이름은 영어로 무엇일까요?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역사상 가장 널리 배부된 책,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등의 수식어를 가지고 있는 성경 성경은 총 66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처음의 39권은 히브리어 성경, 즉 구약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 27권은 그리스어, 즉 신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변을 보면 성경으로 영어공부를 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성경 각 권의 명칭이 영어로는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구약 39권에 대한 명칭입니다. 한국어는 개역한글판 명칭을 사용하였습니다. 창세기 Genesis 출애굽기 Exodus 레위기 Leviticus 민수기 Numbers 신명기 Deuteronomy 여호수아 Joshua 사사기 Judges 룻기 Ruth 사무엘상 1 Samuel 사무엘하 2 Samuel 열왕기상 1 .. 2020. 7. 7. [기초영어 시즌 3] Part2, 보조 표현을 만드는 장치 세 가지 when, because, if 스페셜 학습의 세 번째 시즌은 확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으로 내가 하고자 하는 표현을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기 위해 보조 표현을 만드는 세 가지 장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hen (~할 때) 오늘 배워볼 세 가지 장치는 기본적인 문장(주어+동사)이 맨 앞에 붙어 그 문장을 보조하는 표현으로 바꿔버리는 능력(?)을 가진 단어들입니다. 그 첫 번째 단어는 when입니다. 그럼 기본 문장 앞에 when이 붙으면 어떻게 문장이 보조 표현이 되는지 간단한 예문을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I went out (난 밖에 나갔어) ↓ when I went out (내가 밖에 나갔을 때) When I went out, it was raining. (내가 밖에 나갔을 때, 비가 내리고 있었다) 이.. 2020. 7. 6. 영어 실력을 올리고 싶다면 이것을 알아야 합니다! 언어라는 것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나 방식이 반영됩니다. 따라서 영어 역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나 그 방식이 반영됩니다. 결국 영어를 잘하려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그 사람들의 문화나 그 방식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럼 어떤 점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리에 대한 이해 영어라는 언어의 소리는 세 가지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발성 한국어의 발성은 대부분 일정하고 고른 호흡으로 이루어집니다. 반면 영어의 발성은 강한 호흡과 성대 울림이 있습니다. jump라는 영단어로 예를 들어보면, 한국어로는 그냥 '점프'로 '점'과 '프'라는 단어가 동일한 호흡으로 내뱉어집니다. 하지만 영어로는 '점ㅍ'로 '점'은 상대적으로 강한 호흡을, 'ㅍ'은 모음 없이 약하게 내뱉.. 2020. 7. 5. 기초영어 Season 2 Green Addition 학습 과정 안내 스페셜 두 번째 이야기는 기본기가 '추가'되는 느낌의 학습으로 이미 배운 규칙성을 복습하여 더 익숙하게 만들고 상황이나 표현에 따라 사용빈도가 많은 추가적인 장치들에 대한 이해를 배웁니다. 올바른 관사의 사용법, 해당 전치사가 가지고 있는 뉘앙스, 꾸며주는 말들의 특징과 그 사용법 등 자주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에 대한 느낌을 파악하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배웁니다. 두 번째 이야기는 총 10개의 part로 이루어져 있고, 경우에 따라 특정 파트에 흥미와 실력을 위한 보조 내용이 추가됩니다. 그럼 각 part별 제목과 링크를 통해 해당 학습을 확인해보세요. Part1, 명령문에 대해여 with (명령문+and, or) https://tutoria.tisto.. 2020. 7. 4. [기초영어 시즌 3] Part1, 연결해 주는 기본 장치 세 가지 and, but, or의 뉘앙스 스페셜 학습의 세 번째 이야기는 확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표현을 늘려주는 장치들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그 첫 번째는 접속사라고 불리는 가장 대표적인 3인방 and, but, or입니다. 접속사란 무엇일까요? 지식백과에서는 이렇게 알려줍니다. '문장과 문장 또는 문장 가운데 두 성분들을 이어주는 말' 쉽게 말해 문장이 되었든, 단어가 되었든, 그 두 가지를 연결해주는 장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표현을 좀 더 확장하고 다듬을 수 있는 위한 필수 장치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하나씩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죠. and (그리고, ~서, ~와) 우선 and는 시간의 순서대로 나열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I will go home and sleep. (나는 집에.. 2020. 7. 4. '~의'를 표현하는 of와 's(아포스트로피 apostrophe)의 차이점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의'를 표현하는 장치(?)들을 만나게 되는데요. 바로 of와 아포스트로피가 들어가는's입니다. 이 두 쓰임은 대본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the happiest day of my life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 my grandmother's wedding ring (우리 할머니의 결혼반지) 그런데, my life's the happiest day 라고 표현하면 안 되는 걸까요? wedding ring of my grandmother 이라고 하면 안 되는 걸까요? of와 's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가장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점은 사람이나 동물 등의 생물인지, 아니면 사물 등 생물이 아닌지의 구분입니다. 명사가 생물인 경우에는 's를 사용하는데 위 예문 역시 할머.. 2020. 7. 3. [기초영어 시즌 2] Part10, 형용사의 또 다른 쓰임 오늘은 스페셜 코스 그 두 번째 시즌 '추가편'의 마지막 차시입니다. 마지막을 장식할 친구는 '형용사'라고 불리는 단어들인데, 이미 우리가 형용사에 대해 한번 배운 적이 있기에 잠깐 배운 것을 복습하고 오늘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형용사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앞 시즌 1에서 형용사의 쓰임을 파악하기 위해 형용사는 생각해보면 'ㄴ'으로 끝나는 말이라고 했습니다. 물론 이는 단편적인 이해를 위해서이지 무조건 'ㄴ'으로 끝나는 말들이 전부 형용사도 아니고 형용사 단어가 꼭 'ㄴ'으로 끝나는 것도 아닙니다. 단지 자주 쓰이는 형용사 단어들의 한국어 해석을 보면 작은, 큰, 똑똑한, 날카로운, 추운, 더운, 배고픈, 목마른 등 'ㄴ'으로 끝나는 그 공통점을 가진다는 점을 언급한 것입니다. 따라서 문장은 '~다'.. 2020. 7. 2. Special Course (기본기 과정) 소개 스페셜 과정 (기본기 과정) 소개 우선 어느 정도의 단계 구분을 위해 5단계 학습으로 구별이 되어 있습니다. 그럼 하나씩 어떤 과정들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pecial Season 1 Yellow Base 가장 기본적인 학습으로 영어의 기본기를 배웁니다. 영어의 순서와 그 이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짧은 단문을 가지고 시제의 변화와 그 시제에 따른 긍정, 부정, 의문의 변화를 배웁니다. 이 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일반동사의 짧은 단문들이 시제를 만났을 때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표현을 가지고 어떻게 긍정하고 부정하고 의문할 수 있는지를 배웁니다. 두 번째는 be동사가 왜 필요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되며, be동사의 짧은 단문들이 시제를 만났을 때 떻게.. 2020. 7. 1. 이전 1 ··· 55 56 57 58 59 60 다음